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것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 및 부품을 조사하고 관련 기업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개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전기차(EV)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서 배터리의 안전성, 성능, 수명을 최적화하는 필수 전자 제어 시스템입니다.

    BMS는 배터리 전압, 전류,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최적의 충·방전 전략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보호합니다.

    이는 배터리의 효율적인 사용과 장수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2. BMS의 주요 기능

     

        BMS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 개별 셀 및 모듈의 전압, 전류, 온도 감지
    • 배터리 사용 패턴 분석 및 SOC(State of Charge, 충전 상태), SOH(State of Health, 건강 상태) 계산

     

    2.2. 배터리 보호 (Battery Protection)

    • 과충전(Overcharge) 및 과방전(Overdischarge) 방지
    • 과열(Overheat) 및 단락(Short Circuit) 보호

     

    2.3. 배터리 셀 밸런싱 (Cell Balancing)

    • 배터리 셀 간 불균형 조정 → 배터리 팩 전체 효율 향상
    • 패시브 밸런싱(Passive Balancing) : 초과 에너지를 저항에서 열로 소모
    • 액티브 밸런싱(Active Balancing) : 초과 에너지를 부족한 셀로 이동 (고효율)

     

    2.4. 충·방전 관리 (Charge & Discharge Control)

    • 충전 프로토콜 최적화 및 충전 중 배터리 발열 최소화

     

    2.5. 데이터 로깅 및 원격 모니터링

    • 배터리 사용 이력 저장 및 분석
    • IoT 및 클라우드 기반 원격 모니터링 지원
     

    3. BMS의 핵심 기술

     

        BMS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기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3.1. 배터리 상태 추정 기술

    • SOC(State of Charge) 추정 기술 :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정확히 계산하여 주행 거리 예측 정확도 향상
      • 전류 적산법(Coulomb Counting), 개방 전압 측정(OCV), Kalman 필터 알고리즘 적용
    • SOH(State of Health) 추정 기술: 배터리 노화 정도 및 남은 수명 예측
      • 임피던스 분석법, 전압 변화율 측정, 머신러닝 기반 분석 활용

     

    3.2. 셀 밸런싱(Cell Balancing) 기술

    • 배터리 셀 간 전압 차이 조정 → 배터리 수명 연장
    • 패시브 밸런싱 : 전압이 높은 셀의 초과 에너지를 저항에서 소모 (저비용)
    • 액티브 밸런싱 : 전압이 높은 셀의 에너지를 낮은 셀로 이동 (고효율)

     

    3.3. 배터리 보호 및 안전 기술

    • 과충전/과방전 방지 : 특정 임계값 초과 시 충전·방전 차단
    • 열 관리 시스템(TMS, Thermal Management System) : 배터리 온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냉각 시스템 제어
    • AI 기반 예측 모델 적용 : 배터리 과열 및 성능 저하 방지

     

    3.4.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

    • 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 전기차 내 배터리, 모터, 인버터 간 데이터 교환
    • 무선 BMS (Wireless BMS) : 유선 케이블 없이 경량화 및 유지보수 편리성 향상 (GM Ultium 플랫폼 적용)
    • 클라우드 기반 배터리 모니터링 : IoT 연동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최적화
     

    4. BMS의 핵심 부품

     

        BMS는 여러 전자부품과 반도체 칩으로 구성되며,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4.1. 배터리 관리 칩셋 (BMS IC)

    • 기능 :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셀 밸런싱, 보호
    • 대표 기업 : TI(Texas Instruments), 온세미(onsemi), NXP, Infineon

     

    4.2. 전력 반도체 (Power Semiconductor)

    • 기능 :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및 전력 효율 향상
    • 대표 기업 : STMicroelectronics, Infineon, ROHM, 미쓰비시

     

    4.3. MCU (Microcontroller Unit, 마이크로컨트롤러)

    • 기능 : BMS 데이터 처리 및 제어
    • 대표 기업 : NXP, Renesas, STMicroelectronics

     

    4.4. 온도 및 전압 센서

    • 기능 : 배터리 팩의 개별 셀 모니터링
    • 대표 기업 : TDK, Bosch, Honeywell
     

    5. BMS 관련 국내외 주요 기업

    5.1. BMS 핵심 기술 보유 기업

    • LG에너지솔루션 (대한민국) : BMS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터리팩 생산 (GM, 현대차, 테슬라 공급)
    • 삼성SDI (대한민국) : 전기차 배터리 및 BMS 기술 연구 (BMW, Rivian, 스텔란티스 협력)
    • SK온 (대한민국) : 배터리팩과 BMS 통합 설계
    • Tesla (미국) : 독자적인 BMS 및 무선 BMS(Wireless BMS) 적용
    • Bosch (독일) : 자동차 전자제어 및 배터리 관리 기술 보유
    • Panasonic (일본) : Tesla 배터리 공급 및 BMS 솔루션 제공

     

    5.2. BMS 핵심 부품 생산 기업

    • Texas Instruments (TI, 미국) : 배터리 관리 칩(BMS IC) 및 전력 반도체 제조
    • onsemi (미국) : 전력반도체(SiC MOSFET) 및 BMS 반도체 개발
    • NXP Semiconductors (네덜란드) : MCU 및 전력관리 칩 생산
    • Infineon (독일) : 배터리 보호용 전력 반도체 공급
    • STMicroelectronics (스위스) : 전기차용 MCU, 센서 및 전력 반도체 제조
     

    6. BMS 시장 전망 및 미래 기술 발전

     

        향후 BMS 기술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선 BMS(Wireless BMS) : 배터리팩 내 케이블을 제거하여 경량화 및 효율 개선
    • AI 기반 배터리 예측 관리 : 머신러닝을 통한 배터리 수명 및 고장 예측
    • 초고속 충전 지원 : 배터리 안전성 확보 및 충전 시간 단축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의 성능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국내외 기업들이 기술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반응형